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실내에서도 자외선이 피부에 영향을 줄까?

by 부의파이프라인 2025. 8. 7.
반응형

실내에서도 선크림을 발라야 하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자외선이 실내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영향에 따라 달라질텐데요. 실내에서도 자외선이 피부에 영향을 주는지 상세히 정리하였으니 바로 확인해 보세요.

창문-유리를-통과해-실내로-들어오는-자외선(UV)가-표피-진피-층을-통과하며-피부에-손상을-일으키는-과정이-강조된-인포그래픽
실내에서도-자외선이-피부에-영향을-줄까

목차

 

 

1. 실내 자외선의 특성과 종류

1.1 자외선의 분류와 실내 침투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320~400nm), UVB(280~320nm), UVC(100~280nm)로 나뉘며,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은 주로 파장이 긴 UVA와 UVB로, 특히 창문을 통과할 때에는 파장이 긴 UVA가 대부분 투과되어 실내 공간까지 광범위하게 퍼집니다. UVC는 오존층에 의해 거의 완전히 차단되지만, UVA는 유리창과 커튼, 얇은 파티션 등을 통과해 실내에도 50% 이상 남아 피부 진피층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2 UVA와 UVB의 특성 차이

UVA

파장이 길어 진피층 깊숙이 침투하며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를 파괴해 광노화를 촉진하고 피부 탄력을 저하시킵니다.

UVB

표피층에 흡수되어 DNA 손상을 일으키며 기미·잡티 등 색소침착을 유발하고, 강한 노출 시 피부 홍반과 일광화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창문과 자외선 투과율

2.1 창문유리 종류별 차단 특성

일반 강화유리는 UVB를 90~99% 차단하지만, UVA는 20~50% 정도만 차단하여 실내로 상당량 투과시킬 수 있으며, 로이(Low-E) 코팅 유리나 자외선 차단 필름을 부착한 경우에만 UVA 투과율을 5% 이하로 낮출 수 있습니다. 이처럼 창문유리의 소재와 코팅 여부에 따라 실내 자외선 양이 크게 달라지므로 유리 교체나 필름 부착이 필수적입니다.

2.2 창문 필름과 커튼 활용

자외선 차단 필름은 평상시 보이는 시야는 유지하면서 UVA와 UVB를 99% 이상 차단할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사용하면 추가적인 물리적 차단층을 형성하여 실내 자외선 노출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3. 인공조명에서의 자외선 방출

3.1 형광등

형광등은 형광체가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일부 UVA를 방출할 수 있어 근접 노출 시 피부와 눈 주변에 미세한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오래된 형광등일수록 자외선 방출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2 LED 조명

대부분의 LED 조명은 자외선 방출이 거의 없는 편이지만, 저가형 LED나 UV LED를 사용하는 살균기·미용기기 등은 의도적으로 UV 파장을 방출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실내 자외선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

4.1 광노화와 콜라겐 감소

실내에 침투한 UVA는 피부 진피의 콜라겐 섬유를 분해하는 효소인 MMP를 활성화시키며, 장기적으로 피부 탄력 저하와 주름 형성을 가속화합니다.

4.2 색소침착 및 기미 유발

UVB에 비해 투과율이 높은 UVA도 멜라닌 세포를 자극하여 멜라닌 합성을 촉진하며, 이로 인해 기미·잡티가 얼굴 전체에 불규칙하게 생겨 피부톤을 칙칙하게 만듭니다.

4.3 피부 면역 기능 저하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은 피부의 면역세포인 랑게르한스 세포 기능을 저하시켜 외부 병원균에 대한 방어력을 약화시키고, 알레르기 반응이나 피부염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5. 실내 UV 차단 및 관리 방법

5.1 자외선 차단제 사용 가이드

실내에서도 SPF 30 이상, PA+++ 등급의 자외선 차단제를 자외선에 처음 노출된 시간 15분 전에 꼼꼼히 도포하고, 2~3시간마다 덧발라야 피부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습니다.

5.2 창문 필름·커튼 설치

로이 유리 코팅이나 자외선 차단 필름 부착을 통해 실내 UVA 투과를 최소화하고, 자외선 차단 커튼 또는 블라인드를 병용하여 물리적 차단 효과를 극대화하면 실내 자외선 노출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5.3 조명 선택과 배치

LED 조명을 사용하되, UV 방출이 없는 고품질 제품을 선택하고 빛이 직접 피부에 닿지 않도록 간접 조명이나 확산 갓을 활용해 자외선 및 눈부심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5.4 스킨케어 및 생활 습관

비타민 C, E가 풍부한 식단과 항산화 성분이 함유된 토너나 세럼을 활용해 자외선으로 인한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 및 실내 가습기를 통해 피부 보습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결론

실내에서도 창문과 형광등, 일부 조명기기를 통해 자외선이 피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파장이 긴 UVA가 진피층 깊숙이 침투해 광노화와 색소침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내에서도 환경에 따라 자외선 차단제을 바르고 창문 필름이나 커튼을 설치함으로써 피부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핸드폰을 오래 하면 목이 아픈 이유

핸드폰을 오래 들여다보면 목이 아팠던 경험이 다들 있으실텐데요. 스마트폰이라는 작은 화면에 집중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등이나 목이 굽고 이것이 목뼈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아래에서

riches.dear-y.com

 

똑같이 먹어도 살이 더 찌는 날이 있는 이유

체중계 숫자가 같은 음식을 먹고도 요일마다 달라지는 경험 한 번쯤 있으시죠? 이는 체내 수분 보유량, 호르몬 변화, 식사 후 활동량, 대사율 차이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똑같

riches.dear-y.com

 

사무실 공기가 더 탁한 이유

환경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사무실에서 유독 실외보다 공기가 탁하게 느껴질 때가 있는데요. 실외에 비해 사무실 공기가 탁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를 아래에서 상세하게 정리하였

riches.dear-y.com

 

종이로 손을 베면 유난히 아픈 이유

종이에 긁히거나 베이는 얕은 상처가 유난히 쓰라린 이유는 얇고 날카로운 옆면이 피부 표피를 미세하게 절개해 신경말단을 자극하고, 상처 폭이 좁아 응고와 재생이 지연되기 때문입니다. 본

riches.dear-y.com

 

실내 자전거는 왜 땀이 더 많이 날까?

실내 자전거 운동 시 외부 바람이 없어 체온이 빠르게 상승하고, 실내 환경의 습도·온도, 장비 특성, 운동 강도 등이 복합 작용해 땀이 더 많이 납니다. 이 글에서는 실내·실외 환경 차이, 체열

riches.dear-y.com

반응형

댓글